top of page

장옷 Jangot (Overcoat)

장옷은 조선시대 여성들이 외출 시 얼굴과 몸을 가리기 위해 입던 겉옷으로, 양반가 부녀자들의 외출복으로 사용되었다. 치마 위에 덧입는 긴 형태의 장옷은 전신을 감싸며 자연스럽게 얼굴을 가릴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장옷은 방풍과 방한의 실용적인 역할도 함께 하였으며, 계절에 따라 모시, 명주, 솜, 누비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었다. 옷고름이나 깃의 선에서 섬세한 바느질과 미감이 드러나며, 실용과 미의식을 조화시킨 전통 복식으로 오늘날 장옷은 한국 전통 복식의 상징적인 의례복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여성의 삶 속에 깃든 절제된 아름다움과 품위 있는 일상을 보여주는 대표적 예복이라 할 수 있다.

Jangot is a traditional outer garment worn by women of the Joseon period, particularly among the nobility, whenever they went outdoors. Draped over the chima (skirt), it extended gracefully to envelop the entire body, subtly veiling the face in accordance with Confucian ideals of modesty and decorum. Beyond its symbolic significance, the jangot was also practical, providing shelter from wind and cold. Its seasonal variations employed materials such as ramie, fine silk, cotton padding, or quilted fabrics. Though understated in appearance, the garment reveals exquisite needlework and refined details, especially in the collar and ties. Today, the jangot stands not only as a ceremonial garment but also as an enduring emblem of the restrained elegance and dignified daily life of traditional Korean women.and dignified everyday life of traditional Korean women.

01.국가무형유산 침선장 구혜자 장옷.jpg

구혜자 (보유자)

Koo Hye Ja (Holder)

국가무형유산 침선장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himseonjang (Needlework)

199×75cm
2010

장옷

Jangot (Overcoat)

bottom of page